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6

아동기에 나타나는 심리적 장애 아동기에 나타나는 심리적 장애 아이가 태어나서 청소년 시기까지 성장하고 발달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심리적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런 아동기 장애는 성인의 경우와는 달라서 아동이 나타내는 이상행동이 심리적 장애인지 발달하는 과정에서 드러내는 문제인지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상당히 있다. 그 이유가 몇 가지 있다. 첫째로 아동의 발달에는 현저한 개인차가 있어서 아동이 드러내는 문제가 단순히 발달상의 개인차에서 비롯된 것인지, 적응상의 문제인지를 구분하는 것이 어려울 경우가 있다. 예컨대 3세가 넘으면 대개의 어린이가 대소변을 가린다. 만일 어느 아이가 3세가 니났는데도 대소변을 못 가린다면 이런 행동이 이상행동인지 아니면 좀 발달이 늦은 아이인지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둘째로 아이들은 무슨 어.. 2022. 10. 13.
심리학적 장애: 정신병 정신병 정신병은 일반인에게 흔히 광증이나 정신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신병리학 분야에서 중요시하는 개념이다. 정신병의 특징으로는 현실판단의 심한 장애를 들 수 있다. 형실판단의 장애한 외부세계와 자기의 내부세계의 욕망이나 상상 사이의 구분이 잘 안되기도 하고, 객관적인 현실을 왜곡하기도 하는 이상행동이다. 이런 장애를 나타내는 사람은 예컨대 내가 구세주라고 한다든가 대통령의 특사라고 하기도 한다. 또 모든 사람이 자기를 모함하고 함정에 빠뜨린다고 호소하는가 하면 처녀이면서 결혼한 남편이 저녁마다 찾아온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렇듯 현실과 동떨어진 경험을 하기 때문에 사회생활에 심한 어려움을 겪는다. 정신병 상태에서는 사회생활이나 직업적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고 입원 치료가 요구되며 때로는 개인생활에도.. 2022. 10. 11.
심리학적 장애: 조증 에피소드(manic episode) 조증 에피소드(manic episode) 조증 에피소드 환자는 무엇이고 생각하는 대로 다 될 수 있다는 자신만만함을 보이기도 하고 별 이유 없이 기분이 고양되고 기쁨에 넘쳐 옆에 있는 사람에게도 즐거움이 전염될 정도일 때가 흔히 있다. 이들은 또한 말이 많고 행동이 분주하고 빠르며 생각이 조리를 잃고 비약한다. 조증 에피소드 환자는 흔히 잠을 적게 자고 주의가 산만하고 무분별한 행동을 하기도 한다. 한 예로 자기가 위대한 발명을 해서 발명특허를 낸다고 수원에서 택시를 타고 서울로 와서 중앙청, 시청, 서울역, 특허청, 세무서 등 하루종일 택시를 전세 아닌 전세를 내서 타고 다니다가 택시기사가 이상하게 여겨 정신병원에 입원시킨 환자가 있었다. 이런 조증 상태에선 자신만만하지만 목적지향적 활동에 장애가 있어.. 2022. 10. 11.
심리학 장애: 성격 장애 성격 장애 성격이란 비교적 오래 지속되는 행동이나 특질을 가리킨다. 이렇게 오래 지속되는 행동이나 특질이 융통성이 없고, 이 때문에 사회생활이나 직업활동에서 자기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적응하지 못하고, 미숙하고 부적절할 때 이를 성격장애라고 한다. 성격장애에는 편집성 성격, 분열성 성격, 경조상태와 우울 상태가 교차하는 순환성 성격, 수동공격성 성격 등이 있고, 책임감이나 도덕성이 결핍되어 있으며 충동 통제가 안 되는 반사회적 성격장애가 있다. 여기서는 반사회적 성격장애만 소개하기로 한다. 반사회적 성격장애는 한때 도덕적 정신이상(moral insanity)이라고 할 만큼 양심이 결여되어 있고 비도덕적인 행동을 하는 성격장애이다. 이 성격장애자들은 반복적으로 사회규범과 갈등을 일으키거나 범법을 하는.. 2022. 10. 11.